top of page

 

 

이동사진관 프로젝트 / 통영국제트리엔날레 - 학림도 산양초교 학림분교 / 2021

어릴적 잠깐 본 풍경중에 이런게 있었다. 카메라가 원체 귀하던 시절에 바퀴달린 수레에 그림막을 달고 골목을 다니며 사진을 찍어주던 아저씨가 있었는데 지금으로 말하자면 일종의 모바일 스튜디오쯤 될까... 시대가 시대이니만큼 사진의 배경이 되는 그림은 당연히 조악했다. 서울의 창경원이나 풍경그림이 흔한 배경이었는데 내게는 이 과거의 이동사진관과 오늘날의 포토존에서 서로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보인다.

과거의 '이동사진관'이 가난하고 불행한 현실에서 잠시 벗어나 비현실적인 공간(이동사진관의 뒷배경) 에서의 순간을 고정시키는 일종의 "이데아를 향한 현실도피의 한 형태"라고 얘기한다면 지금의 포토존이라는 문화현상도 별반 다르지 않다고 본다. 과거에 비해 비할수 없이 풍요로워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너나 할것없이 꿈꾸는 이상적인 공간에 자신이나 사랑하는 가족들을 집어넣고 싶은 심리나 욕구는 다르지 않다. 여기서 곧바로 떠오른 아이디어가 학교에 이동사진관을 설치하고 주민들의 기념사진을 찍어주는 것이었다. 아무 근심걱정 없었을 섬에서의 어린 시절을 연상케 하는 배경막을 만들고 주민 한분 한분을 초대해서 사진을 찍어 한 장씩 나누어드리는 일이다.
주민 대부분 자신들이 졸업하고 자식들도 다 같이 공부했던 지금은 폐교가 된 학교복도에서 추억을 남기고 기념사진을 찍어준다는데 이 얼마나 멋진 일인가!(후에 생각이 바뀌니 이 잠시의 자기만족을 양해하시라)
거기에 폐교가 주는 상징은 추억과 기억을 박제하기엔 더할 나위없이 좋은 도구였다. 트리엔날레 전시에서는 이 컨셉의 스토리를 텍스트로 보여주고 기념사진들을 배경 천 작업과 함께 디스플레이 해서 관람객들에게는 자연스럽게 포토존으로 연결될 가능성을 열어둘 계획이다.

여기까지 얘기하면 이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보인다. 주민들의 만족도도 높고 배경그림으로 만든 작업도 그만하면 괜찮아 보이고 사진이 주는 느낌도 그럴듯하다. 그 이미지에 현혹되어 내가 섬 주민들의 삶을 끌어안았다고 표현하는 지인이 있었는데 슬프게도 사실이 아니다. 타인의 삶을 끌어 안을 만큼의 여유와 포용력이 내게는 없다. 정작 이 작업을 진행하면서 계속 드는 의문은 이런 것이었다. 누구나 삶을 추억하고 자신의 인생을 기념하고 싶은 방법이 있다. 각자에게 주어진 시간만큼 각인된 삶의 흔적들도 다 다르다. 물론 그걸 알아내기 위해 교감을 하고 타인의 삶으로 들어가기엔 두 달이라는 시간이 많이 짧은 것도 사실이다.(작가로서의 유일한 핑계거리다)
어찌됐든 내가 설계한 방식에 좀 더 객관적인 시각을 도입해 봤을 때 나는 당사자가 아닌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타인의 추억을, 삶의 한 단편을 기념했다고도 볼수 있다. 물론 그것이 작가의 작업의 영역이고 선택일 수 있지만 작가의 시각이 언제나 옳고 모든걸 규정지을 수는 없다. 좀 어려운 얘기지만 이 대목에선 좀 어려워지고 싶다. 프로젝트의 결과를 떠나서 깊이있게 생각해 볼 문제다.

예술은 어렵고 삶은 더 어렵다.
예술이 삶보다 가치있거나 고결하지는 않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이 프로젝트가 그렇게 훌륭해 보이지는 않는다. 익다만 설익은 사과를 포장해 놓은 그런 기분이다. 한편으론 그걸 깨달았으니 그나마의 수확이라고 위안하며 앞으로 가야 할 길에 대한 새로운 도전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찾는다.

Sewn up consolation or sympathy for 'Us'

 

The first time that I found a material which I can paint on besides the normal canvas was a bedsheet. A bedsheet you can easily get with light colors and even with patterns looked alright to me to work on. And then I started to perceive the traces of time along with the feelings slowly permeated, engraved on the fabric.

That was the very beginning of my interest in fabric I guess(used fabric exactly). A fabric piece which already has its own story attracted me more than white canvas that I should start from nothing. I was more interested in making narratives through the faded traces of lives and time, so to speak. And then my interest in 'used fabric' gradually gave way to 'used clothes'. Used clothes - items not only worn on the body but items as an evidence of our 'arduous life' in my way of definition. Then I started to collect 'used clothing' and cut the clothes into small pieces. And I sewed the fabric pieces together, large enough to cover the whole wall or cover a large structure. I didn't know exactly what I really wanted to realize by making such a large fabric piece. But why is not important. The artist's intentions sometimes are revealed after years, after the work was created. Some say more about connections between the fabrics, some say more about the fantasies it gives. Many different views and interpretations will follow.

But I had a little different idea. Having worked on fabric piece so long, I found myself one day giving more meaning to the act and process itself to make the piece than the finished ones. Cutting,painting,sewing,drawing etc... Repeating this hard process felt like a kind of ritual to me. It just came to my mind that by doing this harsh process myself, I give my consolation or sympathy for 'Us' including myself. 'Us' as one of the pieces in the large connected fabric.

 

Yoon Joo    2021

/ On the thought of Collaboration Project "Blurring Boundaries" 

    Yoon Joo Oct. 2019

I may have imagined nothing but just hanging my work and Susanne's together side by side on the wall when I first thought up our joint show. And surely it's true that simple idea of making a duo show with Susanne just struck me at the moment I was trying to maximize the volume for a fabric piece hung in the gallery space. And that pluffy, air stuffed-like fabric with wrinkles reminded me of Susanne's Eggs of fabric(that's how I called them in myself).

 

And now, you may assume that all about this art project is just based on our styles and materials we use without any conceptual, philosophical attitudes. But that's how we artists usually get started a project, find their commonness, solidarity in styles and materials. And it shouldn’t be any surprise in case it's a social media based exhibition between two old Facebook friends. Furthermore, it's more reasonable for them to depend on visual similarities and common materials if the two artists have lived and worked in utterly different environments half way across the globe. One from Denmark and the other from South Korea in the far east of Asia. What spirituality or subjects possibly could they share in common besides their favorite styles and materials in art? And would you expect anything like cultural homogeneity or something similar between a Korean male artist born in 1962 and a year later born Danish female artist?

 

Ironically, that’s the point where we started to take notice on the word “difference”. And in the following process of exchanging thoughts and ideas for the show, Susanne collected the words we mostly mentioned while we’re talking on our common themes, which were to be boundaries, barricades, intolerance, respect etc.

 

And acknowledging those differences certainly existing between us in culture, language, background has eventually led us to work under the title of “Blurring Boundaries”, creating our process into the form of installation art.

The key words in presenting our works for the show could possibly be ‘Difference’ and ‘Respect’. A drawing following after Susanne’s sculpture, which were done on a pillow cover sent from Denmark. Stitched lyrics of Danish lullaby which Susanne used to sing for her children. And recorded voices (poem) of me and Susanne spoke the words, the words Susanne picked out from our dialogue and spoken in each other’s own language and common language... Throughout the whole past year preparing for the show, I have thought myself a lot related to our collaboration project. Are these actions of making art giving any influence to break barriers in real world? Can these artworks and communicating process help people dissolve the differences existing between us, and among us in this world?

 

Maybe yes, maybe no. But from the following words I had recently heard from a authoritative museum director(Nina Simon,former executive director of Santa Cruz museum of art & history), I felt it’s well worth it to go on to ‘Blurr the Boundaries’

 

“... then we're doing a lot to overcome fear and divisiveness in our community. We live in a really divided world... politically, economically, culturally. And we desperately need places that allow us have positive interaction with people who are not like us.“

 

/ On the Painting #189, I scribbled my name on the earth of the starlit hill then covered it with earth

   2018 Feb.

I was all wondering while working on this, if this would make so-called... a painting work. Writing,scribbling the letters of poem on fabric and erasing by making brushstrokes on it... repeatedly. In a way, I may have left this work(in point of progress) to some.... conceptual territory. The repetitive progress of writing and erasing was simply inspired from a line of the poem.
"I scribbled my name on the earth of starlit hill then covered it with earth." And this verse reflects the agonies,frustration,introspection of the poet, who lived a miserable life and died in prison under the harsh Japanese colonial rule.
He had never fough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army, neither joined independence fighters. But as just a helpless poet,intellectual, maybe there was nothing that he could do beside outpouring the tragic reality, faint hope,sort of self-accusation or self-denial through his poems.

The mockeries,sarcastic remarks of "Can poems change the world?" must have persecuted him until his death. And as you know, the anguish the poet might have had may still exist in this era for you and me both. "Can paintings change the world?"

/ 2016, Mar.

My recent subject on my painting is mainly concerned to the word “ambiguity”.

On the contrary to this, I’m rather a interruptor to the viewers of my work than a kind helper, not to just scan and define my painting with ease. For example, one of my recent painting series “Passing through a peach garden, I found a waterfall splashing down yellow droplets” is obviously inspired from 15th century’s landscape painting by Ahn Gyun(painter in Joseon Dynasty). But I wouldn’t define the series as “landscape painting” nor “traditional asian painting”

The irregular type of shapes and effects by the scattered, thrown powder of pigment on wet paints... the nature of water running through the shapes made by pigments and sprayed water...

brush strokes or painting actions trample on it intended or unintended...

All through this process deployed on canvas, I enjoy making ambiguous space which could be thought as “metaphoric”, has repeated expressions of unrecognizable shapes and also could hardly be understood. And therefore, I expect the viewers to experience some “unexpected meditation” I didn’t even imagine by looking through the painting actions done on canvas.

/ Nov. 2015

My recent painting starts from the self-questioning of "What is painting?" "What is the nature of painting activities?" I'm trying to seek the answer of the question, excluding the narration or the form of painting. Then,minimizing the expressions to using simple and mere actions of painting

on the surface. And I hope the viewers would find the joy and delight from the basic and raw emotions.

/ 2013

Describing my sculpture is relatively easier than describing my painting. Nature could be a common theme for both my painting and sculpture in a way but when it comes to sculpture, it is definitely confined to a certain "shape." I've always taken interest in what forms nature can present itself through trees and plants and animals, etc..
For a long time, I've found myself fascinated by the shapes of creatures.. such as.. mangrove roots with geometric simplicity, voluptuous posterior view of a gigantic rhino, perfectly balanced dogs like Saluki or Hound breed , plump masses of clouds gives me comfort. 
Needless to say, all these entities of nature have amazing beauties of their own through the designs of their crude and natural shapes and lines. I've always been asking myself as a sculptor... What is the shape? What is the essence of the shape that makes people find the beauty in it.. comforts in it.
My sculpture work could be appreciated as the research of seeking those shapes. Through the process of seeking those shapes, I hope to discover and show the new perception of shapes we can come to appreciate.

 

 

 

In the Gap Between Visibles and Invisibles / Oct. 2005

 

As far as I remember, it was a scene from a document channel about Polar regions. What captured my eye was a landscape with a rather small iceberg that continued to drip its water. The season was spring and the iceberg was melting down to its thousands of tiny little droplets.The iceberg was never gigantic, nor was it pouring down an immense quantity of water. I could see just a small lump of iceberg that was drizzling with a regular cycle of speed, as if it would prove that there had been constant forces pulling down from the bottom of the earth. Compared to the rushing of huge waterfalls, the motion of the icebergs flowing water was rather feeble, but its irresistible force was there. With the spectacular sighting of a massive, mammoth-sized iceberg, seizing its essence could have been more difficult. Someone could say that it's ironic to realize this overwhelming and well known truth anew, whereas a little child knows this feeling instantly. I realized this truth actually covers all the earth. I later named this experience, "The Power Behind the Veil." What kind of earthly power makes this solid, sustaining down fall possible all year round and for millions of years? An artist is not in a position to answer such questions, nor is he responsible for it. It's obvious that such questioning, to myself, set the momentous turning point of my last 3 years of painting. However, working after the turning point was not easy. I always tried to catch the "invisibles" because I hadn't been touched by the splendid "visibles." Even splashing water showers didn't offer any assistance, nor inspirations. I murmured to myself, the Truth is all around me. The matter is that I can't see it.The overwhelming power, of nature, slowly spreads my attentiveness into other natural phenomena, such as precipitation and cumulonimbus. I like rain, but I don’t feel compelled to paint the moody lanscapes of a rainy day. Instead, my eyes are turned towards the sky and to the gathering water vapors. It is here that the air capacity, holding the water vapors, decreases to the point of saturation. My painting series, “Precipitation”, indicates the status just before the water vapors turn into falling rains. I guess I should call it the ‘symbol’ of the perfect “Providence” in Nature."Cumulonimbus", is another series of paintings that ends with the term “Providence”. As a child, when I looked up in the sky there used to be a sequence of running castles, horses and sometimes the shapes of frightening demons with white cotton candy looking clouds. Later I realized that they were millions of water droplets scattering the sun light. They weren't the spinning merry-go-round decorations of the castle and princess anymore. They had now become the accumulations of full saturation, releasing to the burst of down pouring energy. That is what I might read from Nature these days. To gain access to that power, I stand as closely to the canvas as I can, so close to count the plies in the cloth or sometimes move far back from the scene. I’m painting the invisibles; whether youcould find the shapes of clouds from my pictures or not.

'우리' 에게 전하는 위로와 오마주

 

나의 작업은 '누군가 입었던 옷' 으로부터 나온 작은 천 조각에서 시작한다. 최소한의 회화작업을 거친 천 조각은 또 다른 천 조각을 만나 바느질로 연결되고 결합되어 조금 더 큰 조각이 된다. 이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면서 하나의 천 조각은 계속해서 보다 큰 규모의 평면으로 증식한다. 충분히 증식된 비정형적 형태의 천은 추가적인 회화작업과 바느질 작업등을 거친 뒤 평면회화의 형태로 벽에 걸리기도 하고 천의 특성상 가변적인 규모의 오브제로 연출이 된다. 

 

나에게 옷이 주는 의미는 이렇다.

한 때는 누군가의 생이고 보호막이었던 천조각들, 영광과 좌절의 시간을 고스란히 보내고 살다간 개인의 모든 역사를 떠안고 남은 존재의 증명과도 같은 옷. 그렇게 신체와 함께 그 주인의 형태로 존재하다 폐기되는 옷이 주는 상징성에 나는 주목하고 의미를 부여한다. 그래서 옷은 때로 그 소유자를 대표한다. 어린 시절의 옷을 통해서 추억을 공유하며 죽은 이의 옷을 통해서 그를 기억한다. 그런 의미에서 옷은 곧 개인의 역사이며 개인의 역사는 또 사회의 역사다. 나는 옷을 통해서 개인의 역사를 투영하고 사회의 역사를 투영한다. 그 개인의 역사를 간직한 옷들로부터 나온 천쪼가리들의 결합체 위에 행해지는 회화의 흔적과 무수한 바느질의 반복은 그런 개인의 역사를 대변하는 표현이며 또한 결국 그 옷으로 대표되는 '우리' 에 대한 동병상련의 위로이자 오마주이다.    /   2021

 

 

K옥션 인터뷰, 2020년 9월 / Click below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auction&logNo=222134288505&categoryNo=35&parentCategoryNo=&from=thumbnailList

63년생 덴마크 여성과 62년생 한국 남성에서 떠올릴 수 있는 일반적인 공통분모는 어떤 것이 있을까? 뜬금없는 질문 같지만 이번 전시를 함께 기획하고 준비 해 온 우리에게는 상당히 현실적이고도 피할 수 없는 본질적인 질문이었을 수도 있다. 물론 우리 모두 시각예술에 종사하는 작가들이라는 점에서 그렇게 까지 생뚱맞거나 공통분모를 찾기조차 어려운 그런 조합은 아니다. 동시대 미술의 글로벌한 트렌드를 거의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의 세상은 예술가라면 적어도 장르나 재료, 기법적인 면에서 언제 어디서라도 함께 묶일 수 있는 충분한 근거를 제공한다. 실제로 이번 전시를 기획하게 된 계기도 전시장에서 천으로 된 작업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비슷한 재료를 사용하는 덴마크 출신의 설치작가 수잔을 떠올리게 되면서였으니 장르나 외형적인 양식으로 작가들을 구분 짓고 연결하는 일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좀 더 깊이 들어가 보자. 덴마크와 한국이라는 각자 현저하게 다른 배경(역사,문화,정치,경제적...)을 가진 이 두 작가에게서 어떤 정신적인 공통성 내지는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할 만한 공통의 주제를 떠올려 본다는 것이 과연 쉬운 일일까... 소위 ‘콜라보레이션(협업)’이라는 작업에 임하는 사람들은 서로 ‘다름’을 인식하기 이전에 ‘동질성’을 통한 유대감을 찾는데 필사적이기 마련이다. 그것이 어쩌면 프로젝트의 동력과 완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 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로 생전 얼굴 한 번 맞대 본 적 없는 이 두 작가는 아이러니하게도 기획단계 부터 ‘다름(difference)’을 하나의 중요한 화두로 인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다름’을 배척하지 않고 인정하고 극복하는 과정을 콜라보 프로젝트의 중요한 테마로 정하고 그 과정을 통해서 나오는 이야기들을 각자의 예술적인 형태로 꾸며진 설치공간으로 만들기로 한다.

 

두 작가의 프로세스를 한번 들여다보자. 기획단계부터 두 작가는 인터넷 메신저로 화상통화로 많은 대화를 이어나갔다. 서로의 작업에 대한 이해와 프로젝트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자유롭게 주고 받는 과정에서 예의 냉철하고 원리 원칙에 민감한 스칸디나비아 출신다운 작가 수잔은 대화의 초기단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어들을 모아서 정리를 한다. 그리고 그 단어들을 각자의 모국어와 공용어인 영어로 녹음을 하고 편집을 하는 가운데 시의 형식을 띈 이른바 ‘soundscape’ -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다소 개념적이고 추상적인 작업을 시도한다. break barriers – dissolve them – speak out loud – respect – understanding – dialogue – exchange – hope - brightness – challenge – obstruction – the many ways – collaboration - tolerance – blurr the boundaries – 영어와 각자의 언어로 번역된 이 단어들은 두 작가의 일 년 여 동안의 소통과 이해와 관용속에서 탄생한 작품들 사이 사이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소리의 형태로 전달되어진다.

 

수잔과 비교하자면 나의 작업은 상대적으로 좀 더 적극적으로 상대 문화에 대한 존중과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던 것 같다. 우리는 일찍이 서로의 문화적 백그라운드 안에서 소비되는 각자의 물질(material)을 교환하기로 합의했다. 수잔은 덴마크의 전통 테이블 보 와 베갯잇 등의 천을 나에게 보내주었고 나는 나의 천 작업에 쓰였던 회화적인 행위와 흔적이 담겨진 재료의 일부를 수잔에게 보냈다.(우리는 여기서 우리의 생각뿐 아니라 물질도 공유했다는 사실에 무척 고무 되었었다.) 수잔이 보내준 덴마크의 전통적인 베갯잇에 나는 수잔이 자신의 아이들에게 어렸을 적부터 들려주었다는 자장가 Elefantens Vuggevise의 가사를 색색의 실로 바느질을 해 수를 놓는 작업을 했다. 자장가의 가사에 나오는 정글과 동물들이 자꾸 연상이 되었는지 나는 겹겹이 얽히고 설킨 화려한 색실들을 무수히 반복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문자와 회화 어느 한 쪽으로 정의되지 않는, 텍스트에 기반하지만 그 자체로 하나의 오브제가 되는 작업을 시도해 보았다. 아울러 그 무수한 색실의 반복과 겹침은 어떤 관점에서 수잔의 부모에서 다시 수잔의 자녀로 다시 그 자녀에게로 이어지는 타문화권의 가족에 대한 나의 오마주이기도 하다.

 

‘경계 지우기‘ 라는 타이틀로 ’이해‘와 ’존중‘ ’관용‘의 개념을 각자 또는 함께 설치,회화,조각등의 표현으로 풀어 나가면서 여러 생각들이 떠올랐다. 국내외 할 것 없이 증오와 배척이 만연하고 해마다 연말이면 각국의 유력기관에서 발표하는 올해의 단어가 ’대립‘과 ’분열‘이 되지 않을까 싶은 그런 냉혹한 현실이 우리 앞에 있다. 관용이 사라진 자리엔 증오가 대신하고 허물어진 장벽을 도로 세우는 불편한 현실 속에서 예술을 업으로 하는 우리의 행보는 한편으론 순진한 예술가들의 낭만적인 꿈처럼 보일 수도 있다. 이런 프로젝트와 예술행위가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철저하게 분리된 냉혹한 현실사회에서 실제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지... 우리가 추구하는 예술의 사회적 기능이 빛을 잃지 않고 결실을 맺을 수 있게 될지... 모든 예술가라면 누구나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이 의문과 회의감이 나에게도 수잔에게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lurring Boundaries – 경계지우기‘라는 추상적이고도 거창한 타이틀의 전시를 머나먼 타지의 작가와 함께 하나하나 완성해 가면서 얻게 된 위안과 확신은 작가로서 적지 않은 소득이자 선물이었다. 일년이 넘는 기간 동안 소통의 어려움을 극복하며 묵묵히 함께 해 온 Susanne Schmidt-Nielsen에게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 /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 "경계지우기展에 부쳐, 수잔 슈미트-닐슨과 함께

2019년 10월 윤 주

Brush or Brushless  

 

최근의 나의 작업의 특성을 대변하는 단어들이다. Brush는 말 그대로 붓을 사용해서 그린다는 말이니 붓에 묻혀진 물질이 나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화면과 직접 부딪혀가는 가운데에 나의 의지가 고스란히 화면에 전달됨을 의미한다. Brushless는 붓을 사용하지 않고 유동적인 액체형태의 물감을 화면에 쏟아부음으로써 화면에서 회화작업을 이루어가는 형태를 말한다. 이 과정에서 작가의 의지가 완전히 배제되었다고 볼 수는 없지만 직접 손이나 붓등의 도구로 화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서 작업을 하는 방식에 비해서는 훨씬 더 자신의 의지로 회화작업을 조절(control)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거기에 한 발짝 더 나아가 화면에 물감을 붓는 작업을 하기 이전에 잉크등의 유동성 재료를 무작위적으로 떨어뜨린다. 그 잉크의 농도와 떨어지는 방향성,운동성에 의해 또 역시 불규칙적인 패턴과 질서가 생겨나고 이후에 그 위로 덮어지는 물감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번짐과 얼룩이 생기는 현상이 일어난다. 나는 이러한 작업의 반복을 통해서 나 스스로 화면을 완전히 통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니, 그것은 어쩌면 애초부터 작가자신이 화면을 완전히 통제할 수 없는것에 대한 고백이요 또 작가 자신의 불완전성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행위이기도 하다. 누군가 이러한 나의 작업형태에 대해 spontaeniety over rationality라는 표현을 쓴 적이 있다. (작가의 의지로 통제되는)이성적 행위를 바탕으로 그위에서 펼쳐지는 (즉흥적)우연성. 나의 작업은 이러한 메카니즘을 바탕으로 추상회화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2018, 1월

이번 전시의 타이틀은 회화 No.1이다. No.1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고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분류하는 하나의 방법에 불과하다는 게 작가의 변(辯)이다. 곧 이번 전시는 그가 회화 No.1이라는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작품들로 이루어진 전시라는 얘기다. 단순히 무심코 던지는 듯한 타이틀에서 작가가 자신의 작품에 대해 갖는 생각을 어느 정도 엿 볼수 있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을 어떤 특정한 사조나 스타일로 구분 짓고 정의내리는 엄격함에서 거리를 두려한다. 그에 걸맞게 갤러리 공간을 채운 작품들도 일견 추상표현주의나 색면추상의 특성을 보이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딱히 어떤 뚜렷한 장르로 포함시키기엔 모호한 부분이 따른다. 원색에 가까운, 다소 정제되지 않은 듯한 색채들이 화면 여기저기에 불규칙적으로 흘려지거나 뿌려진 모습들은 얼핏 잭슨 폴록의 자동기술적 페인팅을 연상시킨다. 맞은 편의 벽면에서 조용히 응시하는 또 다른 회화는 엉뚱하게도 서예나 동양화의 붓질을 닮았다. 또 한스 짐머 Hans Zimmer의 음악에서 제목을 따 왔다는 Cafe Afrika라는 작품에서는 서정적인 인상주의마저 느껴진다. 그런데 이렇듯 각각의 작품들 사이에서 느껴지는 하나로 규정되지 않는 ‘다양함’, ‘모호함’등은 전시를 둘러보는 동안 이내 작가의 회화에 대한 ‘자유로움’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필력’이라는 해묵은 미학을 연상시키는 붓질은 한편에서 마치 어린애가 장난치듯 그은 가벼운 선들과 연결이 되고. 캔버스위를 긁듯 지나가는 되직한 물감층의 붓질은 맞은 편의 미끄러지듯 물기를 가득 먹은 붓질의 반복으로 연결이 된다. 회화에 있어 경계를 의식하지 않는 작가의 태도와 작가자신이 ‘회화행위’라 명명하는 툭툭 던지는 듯한 붓질과 물감의 흩뿌림에서 우리는 그 ‘자유로움’을 읽게 된다. 또 그 ‘자유로움’은 그리 넓지 않은 갤러리공간을 쾌활한 ‘생동감’으로 가득 채운다.

2018, 1월 -  Gallery 1707

내 작업의 최근의 화두는 “모호함”이라는 단어에서 출발한다. 신속하고, 단순,명확한 것으로 대변되는 현대미술에서의 커뮤니케이션과는 반대로 나는 화면안의 몇 가지 장치들을 통하여 감상자가 쉽게 그림을 이해하고 단정 짓는 것을

방해한다. 안견의 “몽유도원도”가 이 작품의 모티브 중에 하나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풍경화나 산수화로 정의하지는 않는다. 젖은 물감위로 흩날리거나 던져지면서 만들어내는 가루입자들의 불규칙적인 형태, 그 사이를 흘러

움직이는 물의 유동적인 방향성, 그 위를 짓이기며 지나가는 의도된, 때론 의도하지 않은 붓질 또는 회화행위....

나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쉽게 읽혀지지 않는, 은유적이거나 때론 비가시적인 대상의 표현들로 반복된 모호한 공간을 화면위에 만들기를 즐긴다.그 화면을 읽어나가는 관찰자의 과정을 통하여서 내가 의도하지 않은 또 다른 “사유”를 경험하기를 기대하는 것이 나의 바램이다.

2016, 3월

언제부턴가 나는 커다란 하나의 화면안에 모든 회화적 요소들을 구성하여 완결짓는 하나의 독립된 회화로서의 그림그리기에 부담을 갖기 시작했다. 우연히 발견하게된 작은 나무액자틀 위에 무심코 끄적거리던 회화적인 작업(그렇게 부를수 있다면)에서 나는 훨씬 더 자유롭게 회화적인 행위들을 탐구할 수 있었고 그러한 그림을 그리는 행위안에서 나는 붓질(stroke)이나 문지름이나 지워냄이나 형태, 색채같은 회화를 이루는 기본적인 요소들을 회화를 이루는 구성요소에서 해방시키고 나아가 하나의 독립된 미적탐구의 대상으로 인식되어지기를 시도한다.

작품의 형태는 그렇게 처음부터 고착되어있는 사각의 프레임이 아닌 이미지가 증식되어가는 가변적인 형태를

띠게 되며 나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관람자들의 ”회화란 무엇인가?““그림그리는 행위의 본질은 무엇인가?‘ 에

대한 사고를 유추해내길 원한다.

2015년 2월

 

bottom of page